1970~80년대
한국 수중고고학의 시작
1975 신안해저유물 발견 1976~1984 한국 최초의 수중유산 발굴조사 <신안선 수중발굴> 1981.8.25 국립문화재연구소 부설 <목포보존처리장> 개설 1983~1984 고려청자운반선 <완도선 수중발굴>
신안선 수중발굴
목포보존처리장
1990년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개관
1990.1.3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 개소(대통령령 제12896호) 1991 진도 통나무배 발굴 1994.12.14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개관(대통령령 제14251호) - 4급 기관, 2과(관리과, 학예연구실)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000년대
조직과 연구 기능 확대
2006. 11 수중유산 탐사선 <씨뮤즈호> 취항 2002~2009 군산 비안도, 십이동파도, 야미도 수중발굴 2006 신안선 수중발굴 30주년 기념 특별전·국제학술대회 개최 2007~2010 태안 태안선, 마도 1·2호선 수중발굴 2009. 4.27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명칭 변경(대통령령 제21407호) - 고위공무원단, 4과(기획운영과, 수중발굴과, 해양유물연구과, 전시홍보과)
씨뮤즈호
군산 십이동파도 수중발굴
2010년대
태안지역 거점 구축
2011.4 태안보존센터 완공(충남 태안) 2011~2015 태안 마도 3·4호선 수중발굴 2012~계속 진도 명량대첩로 수중발굴 2012.12 수중유산 발굴선 <누리안호> 취항 2016.3 책임운영기관 지정 2017.6 서해문화재과 신설 2019.11 태안해양유물전시관 개관
누리안호
태안해양유물전시관
2020년대
재도약
2020 해양역사문화 복합공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유물과학팀 신설 전시교육과 부서 명칭 변경 2024.5.17. 국립해양유산연구소로 명칭 변경(국가유산법 시행)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전경